tomcat의 war파일 실행 설정 방법

이클립스 톰캣에서 war 파일 실행 설정 방법 전달 드립니다.

 

이클립스 서버를 톰캣으로 설정하면 

좌측 explorer 칸 servers 폴더 내에 톰캣 폴더가 보이고 톰캣 폴더 내에 server.xml이 보입니다.

 

server.xml에서 Host 태그 안에

<Context path="/ExternalGateway" docBase="C:/Users/userName/Documents/EXGW/build/libs/ExternalGateway_local.war" reloadable="false"/>

 

위 태그를 복사해서 넣고 docBase에 gradle 실행하여 war 파일 생성되는 경로를 지정해주면 됩니다.

 

프로젝트를 로컬에서 실행 및 테스트 하는 방법을 전달해 드립니다.

 

개발한 프로젝트가 실행하는 환경에 맞게 동작하게 하기 위해서

resources - config 에 local, dev(alpha 서버), beta, real 폴더를 생성하고

각 폴더에 property 파일들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gradle로 build 할 때에는 build.gradle에 셋팅한 개발환경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한 환경에 맞는 property로 war 파일을 생성해 줍니다.

그러나 이클립스의 서버에서 실행을 하려고 할 때에는 property 파일들을 찾지 못해 실행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로컬에서 테스트 할 때에는 gradle로 war 파일을 생성한 다음에 윈도우에 설치한 톰캣으로 직접 서버를 실행하여 테스트 하고 있습니다.

 

[JSP]윈도우에서 톰캣 설치와 톰캣 서버 구동 :: Kamang's IT Blog (tistory.com)

 

위 링크의 글을 참고하여 톰캣 서버를 윈도우에서 구동하는 방법에 대해 확인하면 됩니다.

 

war 파일은 설치한 톰캣 폴더 내에 webapps 폴더 안에 복사하면 되고 톰캣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면

webapps 내에 복사한 war 파일과 동일명의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localhost:8080/폴더명/페이지 주소

으로 주소 치고 들어가서 테스트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