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19년 홍익대학교 자바 겨울 특강 수업을 메모한 것이다.
당시에는 에버노트에 메모해놨었기 때문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백업해둔다.
package chapter3;
public class operator_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0, j = 1, k = 2, l = 3, m = 4, n = 5;
int sum = 0;
//산술연산자
//+
sum = i + 1; // i = 0
System.out.println(sum);
sum = i + k;
System.out.println(sum);
System.out.println();
//-
sum = n - 2; // n = 5
System.out.println(sum);
sum = n - j; // j = 1
System.out.println(sum);
System.out.println();
//*
sum = j * 2; // j=1
System.out.println(sum);
sum = sum * k; // k=2
System.out.println(sum);
System.out.println();
// /
sum = m / 2; // m = 4
System.out.println(sum);
sum = m / k ; // m = 4, k = 2
System.out.println(sum);
System.out.println();
// %
sum = n % k; // 5/2 나머지
System.out.println(sum);
sum = m % k; // 4/2나머지
System.out.println(sum);
System.out.println();
<연산자 우선순위>
// i++, ++i
sum = i++; // i = 0 // i = i + 1 을 줄여서 i++이라고 표시한다.
System.out.println(i);
System.out.println(sum); //0
i = 0;
sum = ++i; // i = i + 1
System.out.println(i);
System.out.println(sum); //1
System.out.println();
i = 0;
<뒤에있는 숫자만큼 연산하여 i에 넣어라>
// +=, -=, *=, /=, %=
sum = i += 2; // i = i + 2 [뒤에 있는 숫자만큼 더해서 i에 넣어라]
System.out.println(sum);
sum = i -= 1; // i = i - 1
System.out.println(sum);
sum = i *= 4; // i = i * 4
System.out.println(sum);
sum = i /= 2; // i = i / 2
System.out.println(sum);
sum = i %= 2; // i = i % 2
System.out.println(sum);
System.out.println();
2
1
4
2
0
//비교연산자
System.out.printf("%b \n", 8 == 8.0f); // t
System.out.printf("%b \n", '8' == 8); // f
System.out.printf("%b \n", 'A' == 65); //t
System.out.printf("%b \n", 'A' == 'B'); //f
System.out.printf("%b \n", 'A' < 'B'); //t
System.out.printf("%b \n", 'A' > 'B'); //f
System.out.printf("%b \n", 'A' + 1 == 'B'); //t
System.out.printf("%b \n", 'A' != 'B'); //t
대소비교를 하는 비교연산자. 자바에는 불린 형이 있다.
%b 가 true false를 나타내는 boolean형이다.
대문자 A에 대응하는 숫자가 65인 것. 아스키코드에 따라서 정해진다.
System.out.printf(“%d “, ‘A’);
//논리연산자
int a = 0, b = 1, c = 2, d = 3, total;
// || or 연산
System.out.printf("%b || %b = %b \n", a == 0, b == 1, a == 0 || b == 1);
System.out.printf("%b || %b = %b \n", a == 0, b > 1, a == 0 || b > 1);
System.out.printf("%b || %b = %b \n", a > 0, b == 1, a > 0 || b == 1);
System.out.printf("%b || %b = %b \n", a > 0, b > 1 , a > 0 || b > 1);
// && and 연산
System.out.printf("%b && %b = %b \n", c == 2, d == 3, c == 2 && d ==3);
System.out.printf("%b && %b = %b \n", c == 2, d > 3, c == 2 && d > 3);
System.out.printf("%b && %b = %b \n", c > 2, d == 3, c > 2 && d == 3);
System.out.printf("%b && %b = %b \n", c > 2, d > 3, c > 2 && d > 3);
조지 불의 진위표를 프로그래밍으로 나타내는 것
0 이 false
1 이 true
or x
and +
//3항연산자
조건연산자라는 마을 더 자주 쓴다고 한다.
//a=1, b=1, c=2, d=3, e=4, f=5, total;
total = b < 2 ? 1 : 0;
연산자를 넣은 항을 만들 수 있다. 3항연산자에는 항상 조건이 들어간다. (b < 2에서 <가 조건이다)
조건의 값에 따라
truee의 경우에는 콜룸을 기준으로 앞에 있는 것을 실행한다.
flase인 경우에는 콜럼의 뒤에 있는 것을 실행한다.
true인 경우에는 total = 1(앞에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3항연산자에는 문장도 들어갈 수 있다.
System.out.printf("조건값이 true일때 : %d \n", total);
total = c < 0 ? 1 : 0;
System.out.printf("조건값이 false일때 L %d \n", total);
}
}
'┝ 개발 언어 >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1 제어문 while문 do while문 (0) | 2022.03.01 |
---|---|
1/21 제어문 for문 (0) | 2022.03.01 |
1/21 제어문 switch case (0) | 2022.03.01 |
1/18 제어문 if문 (0) | 2022.03.01 |
1/14 자바 특강 (변수) (0) | 202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