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팅 뜻, AWS Amplify, S3, EC2 특징 정리

 

Client - Server 구조

호스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client - server 구조를 알고 있어야한다.

사용자 > client computer > server computer 순서로 요청이 전달되며

server computer > client computer > 사용자 순서로 응답이 전달되는 것을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라고 한다. ^^

클라-서버 구조에서의 호스팅은 결국 위의 'computer'를 구동하기 위한 환경을 빌리는 모든 행위를 말하는데, 먼저 호스팅의 정의 부터 짚고 넘어가겠다.

 

호스팅이란

호스팅이란 서버의 일부를 임대해주는 서비스이다. 개인이 서버를 관리하는 건 힘든 일이기 때문...(전력, 보안 관리 등)

 

호스팅을 '제공해준다'는 말로 이해하면 쉽다.

host 자체가 파티나 이벤트를 주관하는 사람, 즉 파티나 이벤트를 제공해주는 사람이라는 뜻이니까~

웹 호스팅 = 웹을 제공해드려요

서버 호스팅 = 서버를 제공해드려요

클라우드 호스팅 =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해드려요

 

호스팅의 종류

웹 호스팅

고객이 하나의 서버를 함께 나누어 사용한다.

웹 호스팅은 웹 사이트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 뒤 인터넷 상의 서버 또는 컴퓨터를 제공한다. 덕분에 데스크톱, 모바일 및 태블릿과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손쉽게 액세스할 수 있다.

AWS의 웹 호스팅 서비스 (즉.. 아마존에서 웹 서비스를 위해 제공해주는 것들은 이런것들이 있다 ^^)

  • Amazon Lightsail : 올인원 호스팅 서비스인듯... (AWS를 이용하여 웹 서버를 효율적으로 시작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Lightsail은 저렴하고 예측 가능한 요금으로 웹 사이트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합니다. WordPress, Magento, Prestashop, Joomla와 같은 사전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 몇 번의 클릭으로 블로그, 전자 상거래 또는 개인 웹 사이트를 구축합니다.)
  • AWS Amplify Hosting : 배포에 특화된 호스팅 서비스로, 정적 웹+서버 애플리케이션 관리에 특화. 따라서 CI/CD 기능도 제공한다. (정적 웹 사이트 및 서버 측 렌더링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확장성이 뛰어난 완전관리형 CI/CD 및 호스팅 서비스입니다.)
    • 이 때 CI/CD, 배포를 위해 AWS Amplify가 사용된다. 이렇게 서버 인프라에 대한 직접적인 개발자의 관리 없이 서버를 구동, 운용하는 것을 서버리스라고 한다. (AWS Amplify와 serverless에 관한 포스팅 https://tistory-pencilcase.tistory.com/194
    • 도메인을 사용할 거라면 Amazon Route 53을 사용하면 된다.
  • Amazon S3(Simple Stroage Service) : 파일 저장에 주로 사용된다('버킷'이라는 컨테이너에 저장된다 ^^). (웹 호스팅에 필요한 파일 저장 스토리지 옵션) (S3에 관한 포스팅 https://tistory-pencilcase.tistory.com/191 )
  • Amazon EC2(elastic compute cloud) : 가상 서버(이를 '인스턴스'라고 한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호스팅. (ec2에 관한 포스팅 https://tistory-pencilcase.tistory.com/191 ) (클라우드에서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팅 파워를 제공합니다. 대기업 웹 사이트와 기타 애플리케이션이 많은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버 호스팅

고객이 하나의 서버를 단독으로 사용한다. 비용이 높아 대기업, 대형 포탈 등이 사용한다.

클라우드 서버

서버 호스팅을 가상화 한 것으로, 가상 서버를 단독으로 사용한다. 클라우드이므로 고객이 필요할 때마다 서버 자원을 늘리거나 축소하여 사용 가능하다. Amazon EC2가 대표적인 예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