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19년 홍익대학교 자바 겨울 특강 수업을 메모한 것이다.
당시에는 에버노트에 메모해놨었기 때문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백업해둔다.
배열을 사용하면 데이터를 사용하기가 쉬워진다!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arra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1 = { 3, 4, 5 }; //1번
int[] arr2 = new int[] { 3, 4, 5 }; //2번
int arr3[] = new int[3]; //3번 공간만 만들어둔 것
int[] arr4 = new int[3]; //4번 공간만 만들어둔 것
int len = 0;
arr3[0] = 0;
arr3[1] = 1;
arr3[2] = 2;
arr4[0] = 2;
arr4[1] = 1;
arr4[2] = 0;
System.out.println(arr3[0]);
System.out.println(arr3[1]);
System.out.println(arr3[2]);
System.out.println(arr4[0]);
System.out.println(arr4[1]);
System.out.println(arr4[2]);
//배열의 길이
len = arr1.length;
System.out.println(len);
//for문을 이용한 배열
int score1[] = new int[5];
int[] score2 = new int[5];
for (int i = 0; i <= 4; i++) { //i<score1.length
score1[i] = i;
System.out.printf("%d \n", score1[i]);
}
for (int i = 0; i<score1.length; i++) { //i<score1.length
score1[i] = i;
System.out.printf("%d \n", score1[i]);
}
for (int j = 4; j >= 0; j--) {
score2[j] = j;
System.out.printf("%d \n", score2[j]);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score1)); //[0, 1, 2, 3, 4]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score2)); //[0, 1, 2, 3, 4]
for (int k = 0; k <= 4; k++) {
System.out.printf("%d \n", score1[k] + score2[k]);
}
// 배열의 범위 벗어남
System.out.printf("%d", score1[5]+score2[5]);
//score1,2는 index가 5칸밖에 없으므로 없는 칸을 불러왔기에 잘못됨
//왜 오류가 안 나는가? 문법 자체는 오류가 없기 때문! 실행해보면 오류가 난다.
// 배열 복사
int[] arr7 = new int[3];
int[] arr8 = new int[6]; // [6]=[arr3.length*2]
arr7 = arr8;
for (int i = 0; i < 6; i++) {
arr7[i] = i; //arr7은 3칸이지만 arr8을 배열복사했기 때문에 6개의 값이 들어갔다.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7)); //[0, 1, 2, 3, 4, 5]
}
}
'┝ 개발 언어 >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5 객체지향 클래스 메소드 (0) | 2022.03.01 |
---|---|
1/23 배열 동적 할당 (0) | 2022.03.01 |
1/21 제어문 break, continue (0) | 2022.03.01 |
1/21 제어문 while문 do while문 (0) | 2022.03.01 |
1/21 제어문 for문 (0) | 2022.03.01 |